기억 장치의 빈 공간 또는 자료가 여러 조각으로 나뉜 현상을 말한다.
메모리 단편화 현상은 기억장치의 사용가능한 공간을 줄이고, 읽기와 쓰기의 수행속도를 늦추는 문제점을 야기한다.
단편화의 종류
1. 내부 단편화
-->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기법 중 페이징을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.
2019/12/12 - [면접준비] - 운영체제 메모리 관리기법 : 페이징(paging)
일정 크기의 페이지에 프로세스 할당시, 프로세스의 크기가 페이지보다 작을 경우 내부 단편화가 발생한다.
이처럼 program/process가 필요한 메모리가 4KB(페이지) 보다 작을때 내부 단편화가 발생한다.
해결방법:
세그멘테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 관리함으로써 내부 단편화 문제를 해결한다.
'면접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운영체제 : 가상 기억장치 , 가상 메모리 (2) | 2019.12.12 |
---|---|
운영체제 메모리 관리기법 : 페이징(paging) (0) | 2019.12.12 |
댓글